학회지

Korea Association of Skills and Qualifications

논문검색

pISSN 2287-2906 (Printed Edition)

직업과 자격 연구, Vol.13 no.2 (2024)
pp.1~29

DOI : 10.35125/jsq.2024.13.2.001

- 청년구직자의 직업가치 인식수준에 따른 유형 및 주요 특성 -

양인준

(한국고용정보원 부연구위원)

최효임

(한국고용정보원 연구원)

이 연구는 청년층이 인식하는 직업가치에 따라 유형을 분류하고, 유형별 주요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 른 차이를 분석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만 18세 이상 34세 이하 청년구직자 404명의 응답데이터를 수집하였으며, 직업가치 인식수준에 따른 유형 분류를 위해 잠재프로파일 분석을, 직업가치 인식유형 간 주요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차이검증을 위해 일원배치분산분석(ANOVA)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년구직자의 직업가치 인식수준에 따라 총 4개의 유형으로 분류된다. 둘 째, 청년구직자는 직업가치 유형 중 ‘균형지향형’에 가장 많은 분포를 보인다. 셋째, 청년구직자의 직업가 치 유형에 따른 인구통계학적 차이분석 결과, 일부 특성에서 유의미한 결과가 도출되었다. 이 연구를 바탕으로 도출된 학문적 제언으로는 첫째, 오늘날 국내 노동시장에서 직업가치가 중요한 대상을 추가로 발 굴해야 한다. 둘째, 상대적으로 적은 표본 수가 도출된 인구통계학적 세부영역을 보정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실천적 제언과 관련하여 첫째, 청년구직자의 직업가치 유형에 따른 맞춤형 정책 추진 및 정책 간 연계를 통해 정책 운용의 효과성을 제고해야 한다. 둘째, 새롭게 입직하는 조직 내 청년층의 직 업가치 인식을 반영한 맞춤형 인사 및 복지제도 운영을 통해 청년 근로자와 기업 모두가 성장하는 선순 환 구조를 만들어야 한다.

A Study on Types of the Perception of Work Values and Characteristics for Youth Job Seekers

Injun, Yang

Hyoim, Choe

This study aims to categorize groups based on the perception of work values among youth job seeker and to analyze differences in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ypes. To this end response data from 404 aged 18 to 34 were collected. Latent profile analysis was conducted to identify types and ANOVA was used to confirm differences between types on demographic characteristic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is divided into four types according to the perception of work value. Second, the most of youth job seekers are included in ‘balance-oriented type’.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demographic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types, significant results were derived in some characteristics. In terms of academic implication, future research should seek additional groups for whom work values are important in labor market.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find a way to secure the validity of demographic subareas with relatively small sample sizes. Regarding empirical implication, it is important to enhance the effectiveness of policy implementation through tailored policy based on the types. Moreover it is essential to create a virtuous cycle structure for both youth workers and companies by operating customized personnel and welfare systems reflecting work values.

다운로드 리스트